간염 바이러스에 대해서 디벼 보자~

과거에 상담실을 운영하다 보니 간염 보유자분들께서 궁금증은 많으나 기본 의학지식이 부족해서
개념을 잘 잡지 못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이 곳에서는 기초적인 개념부터 한번 다시 잡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항원은 뭐고 항체는 또 뭐꼬?

항원(antigen, 줄여서 Ag)은 바이러스를 말하고, 항체(antibody, 줄여서 Ab)는 그에 대한 면역항체물질을 말합니다.
그냥 항원은 나쁜 넘, 항체는 좋은 놈이라고 기억하시면 간단합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많은 분들이 혼란을 격으시는데요..
B형간염 (바이러스) 항원에는 세가지가 존재하며 각 항원에 대해서 각각의 항체가 생기는 것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검사로서 c항원을 검출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항원
항체
1. s (surface) 항원 : HBs Ag
s 항체 : HBs Ab
2. c (core) 항원
c 항체 : HBc Ab
HBc IgM Ab, HBc IgG Ab
3. e (envelope) 항원
e 항체 : HBe Ab

흠...여기서 잘 개념을 잡지 않으면 앞으로 점점 더 어려워 집니다..

그럼 s항원은 또 뭐고 e항원은 또 뭐야?

그냥 쉽게 s항원은 B형 간염 보유자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적군의 군복이라고 합시다.

e항원은 바이러스가 증식할때 만드는 것으로서 현재 바이러스가 증식을 하느냐, 즉 전염성이 높으냐로 알고 계시면 혼란이 없으실 겁니다. 즉 적군에게 있는 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s항원이 양성인 보유자는 다시 e항원이 있느냐 없느냐로 나뉘게 되는 것입니다.

, 총이 있는 적군이냐? 맨주먹인 적군이냐? 하는 거죠..

 

여기에다 나중에 또 DNA라는 것이 나오는데 이건 총에 끼우는 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왜냐.. 대부분의 B형간염바이러스라는 적군은 총도 있고 칼도 있는데, 나중에 보면 총은 없으면서 만 있는 적군도 나오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명심하실 것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나 인터페론을 사용하는 목적은 e항원과 DNA를 양성에서 음성으로 바꾸자는 것이며,(, 총과 칼을 모두 빼앗는 것)

따라서 치료 성공시에도 s항원 자체가 음성으로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포로로 잡아도 군복까지 벗기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c항원이라는 것은 적군의 피부에 새겨진 문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더더욱 안 사라지고 군복을 벗기기 전에는 알 수 없듯이 혈액검사로는 알 수 없고, 간 조직검사를 해야만 알 수 있는 항목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건강 보균자?? Oh..No...건강 보유자!! 보유자는 두종류!!

흔히들 간염 보균자라고 말씀을 하시는데, 보이라는 것은 장티푸스균 보균자처럼 세일때 쓰는 말이고,
간염은 바이러스니 보유자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s항원이 양성인 보유자는 e항원이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 두가지가 있습니다.

e 항원이 양성인 경우를 대개 전염성이 있다고 하는데, 간혹 일부에서 이것을 활동성이라고 말을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혼돈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단지 바이러스가 증식을 하고 있다 없다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항원상태만 가지고 활동성 간염이다 아니다를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간염 상태를 정확하게 알아 보기 위해서는 간 조직 검사가 가장 좋구요..
아니면, 혈액 검사를 통해서 여러가지 간기능 측정과 간염 수치(GOT, GPT 또는 AST, ALT라고 각각 말하기도 하지요..)를 가지고 간염의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입니다만, 단순히 간염 수치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또 한번의 혼란이 발생합니다..
즉, s항원이 양성이고 e항원이 음성이면서 간수치가 정상이면 건강 보유자인가?

통상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이런 경우에도 간 조직 검사를 해 보면 거의 염증이 없는 경우(진정한 의미의 건강 보유자)에서 부터 다양한 상태의 간염 또는 약한 간경화까지 발견되는 수도 있습니다..

또 하나, 그럼 s 항원 양성, e항원 양성 이면서 간수치가 정상이면 건강 보유자인가?

이 또한 통상적으로는 건강 보유자라고 말 할수도 있습니만, 더 정확히 말하면 면역 관용기의 상태로서 언젠가는 간염이 발병할 준비 상태로 생각하는 것이 낫겠지요...


따라서 간염 보유자 = 잠재적인 간염환자 로 보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정확하다고 생각됩니다.

만성 지속성 간염 vs. 만성 활동성 간염

원래 활동성 간염 여부는 조직검사를 통해서만 정확히 붙일 수 있는 진단명으로서,
염증이 약할때는 지속성간염으로 분류하고 염증이 심할 때는 활동성으로 분류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예전부터 전염성이 있는 상태를 많은 의사들이 활동성이라고 표현하는데서 오해와 혼란이 야기되고 있습니다.

만성 활동성 간염이라는 분류는 약간 예전의 분류법으로서 이미 말씀드린 대로 조직검사를 통해서만 정확히 붙일 수 있는 진단명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예전처럼 이분법으로 나누지 않고 염증정도, 조직 파괴정도, 섬유화 정도 등에 각각 점수를 매겨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조직검사가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대개 6개월 이상 간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경우 만성 활동성 간염이라고
암묵적으로 칭하기도 했습니다.

대개 전염성이 있는 상태를 설명할 때 흔히 활동성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혼동하시지 말도록 하세요..
전염성이 높은 경우, 즉 e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바이러스의 증식이 활발한 상태를 의미하며,
e항원이 음성인 경우라도 전염성은 아주 없지는 않고 약하게라도 있습니다.
즉 전염성이 낮은 것이지요.

활동성과 전염성의 차이?

이제 이쯤에서 다시 활동성과 전염성의 용어를 구분하고 넘어갑시다..
활동성은 만성 간염이 활발한 상태로서 간수치가 비정상적으로 6개월 이상 증가된 경우로 한정지어서 이야기 합시다.

그리고 전염성이 있다, 또는 없다는 것은 사실 간염 보유자는 누구든지 있다고 생각하시고,
다만, e항원과 DNA 검사로 양성이면 전염성이 높다, 음성이면 낮다로 생각하시면 이제 혼돈은 없겠지요?

(제가 과거에 홈페이지에 전염성이 높다, 낮다가 아닌 있다, 없다로 표현해 놓아서 혼동을 드린 분들께는 죄송합니다.
저도 오늘에야 다시 이전하면서 보니까 예전에 그렇게 써 놓았더군요.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어휴~~ 관리 쉽게 빨리 이전해야하겠네요.. -.-